설계·시공

고객과 함께 성장하는 기업, 베스트ENC

설계·시공·T.A.B

설계

Clean Room 설계 기준

  • 인동선, 물동선 구분으로 교차 오염 방지
  • 청정지역에서 역 방향 진행 방지
기본원칙 고려사항 조치사항
1. Preventing 실내공기 압력 실간 차압조정, 양압유지, 도입외기량 조정
건축적인 통선 계획 작업원, 물류, 원료의 동선 구분
청정역과 오염역의 구분
Air Lock, Air Shower 설치
HEPA Filter Filter Leak 방지
2. Prohibiting 인원관리 필요인원 출입통제, 작업원 동선최소화
인원의 복장관리 무균의, 청정장갑 착용, 인체호흡 기류차단
건축내장재, 자료 표면 가공처리, 무발진 재료사용
3. Protecting 실내기류 취출구 위치조정, 증류풍속 및 환기횟수 조정
건축 내장재 무정전 내장재 사용, Conner Mould 사용
실내청소 청소기준에 따른 지속실시
4. Purging Clean Room 방식 시설용도의 정확한 파악
실내기류 기류 분포 예상 및 환기구 위치 조정 발진
환기횟수 환기횟수를 높게 유지
5. Providing 향온방습 System 향온방습기 셀러, 작업인원 및 생산설비의 발열량 고려

부속설계

구조,재료
(Structure & Materials)

실내 표면을 매끄럽게 해서 기류가 흐트러지거나 먼지가 쌓이지 않는 구조로, 먼지발생이 적을 뿐만 아니라 입자가 잘 부착되지 않고 청소가 용이한 재료를 선택합니다. 작업내용에 따라 내약품성, 내습성, 내화성을 가진 재료를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부속장치
(Equipments)

Clean Room을 구성하는 주변장치에는 먼지제어용에 Air Shower(대인, 대물용), Pass Box (물건 입출 인용), 압력유지용에 Relief Damper(실내압력조정용)등이 있으며, 각각의 기능을 충분히 이해해야 합니다.

작업자와 물건 관리
(Control to Working Persons & Materials)

작업자와 외부에서 반입되는 물품은 최대의 발진원인입니다. 무진복과 화장의 문제 등을 포함하여 작업자는 Clean Room관리에 대한 기본지식이 필요합니다.

유틸리티
(Utility)

급,배수, 가스, 전기 등 에너지 공급을 위한 장치는 기류방식, Lay out 의 Flexibility를 고려해서 결정해야 합니다. 또한 유지보수 시 청정도 저하를 초래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안전대책과 비상설치
(Safety & Emergency Plan)

Clean Room은 밀폐구조 이므로 화재, 가스누설 등에 대한 최대대책이 필요하며, 정전에 의해 문제가 발생될 수 있는 장비에 대해서는 비상 전원 설비를 갖추는 것을 검토할 필요가 있습니다.

시공

T.A.B (Testing, Adjusting, Balancing)

T.A.B란 시스템의 시험, 조정, 평가(Testing, Adjusting, Balancing)로 설계 목적에 부합되도록 관련 시스템을 검토하고 조정하는 과정입니다. 클린룸에서 요구되는 CLASS간의 차압, 작업장 환기 횟수, Air Flow, 해당 장비의 성능 등 제조시설의 ‘교차오염방지’와 ‘청정도 유지’에 적용하는 항목들에 대한 정밀한 측정과 조정은 시스템 성능에 매우 중요하다 할수 있습니다. 또한 준공 후 본 건물의 냉, 난방기계 설비를 운전 관리 유지하는데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T.A.B효과

  • 청정도 유지 및 교차오염 방지
    공기의 흐름을 정해진 방향으로 유도하여 교차오염을 방지하고 청정도를 유지합니다.
  • 시공상태 확인
    공조 설비의 시공상태가 설계목적에 부합되는지 파악합니다.
  • 에너지 손실 방지
    측정된 공기와 에너지의 공급량을 설계치와 비교 분석하여 에너지 손실 요인을 제거합니다.
  • 운전비용 절감
    실내의 온도, 습도 및 공기분포 상태르라 균형있게 유지하여 설비기기의 과다한 운전을 방지합니다.
  • 설비의 수명 연장
    과부하 운전 및 불안정한 운전을 최상의 효율로 작동되도록 개선합니다.
  • 효율적인 시설 관리
    종합적인 시스템의 용량, 효율, 성능 작동상태 운전 및 유지관리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합니다.